재테크 입문

16화 | 돈의 가치: 물가상승률과 인플레이션 이해하기

breeze-economy 2025. 2. 9. 23:48

여러분은 부모님께 "옛날에는 커피 한 잔이 300원이었는데..."라는 말씀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지금은 4,500원이 넘는 커피 가격을 보면서 격세지감을 느끼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인 '물가상승'과 '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돈의 가치는 변한다

우리가 흔히 "돈"이라고 부르는 것의 본질적 가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10년 전의 만 원과 현재의 만 원은 같은 금액이지만, 그것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은 다릅니다. 이것이 바로 화폐가치의 변동성입니다.

물가상승률이란?

물가상승률은 특정 기간 동안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얼마나 올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연간 물가상승률이 5%라면, 작년에 100만원으로 살 수 있었던 물건을 사기 위해 올해는 105만원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인플레이션의 이해

인플레이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폐의 구매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달리 말하면, 같은 금액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나 서비스의 양이 줄어드는 것이죠. 물가상승과 인플레이션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때로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

  1. 수요 측면: 사람들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물건 값이 오르는 경우
  2. 공급 측면: 원자재 가격 상승이나 생산비용 증가로 물건 값이 오르는 경우
  3. 통화량 증가: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 풀리면서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경우

인플레이션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1. 저축의 가치 하락

만약 연 5%의 물가상승률 환경에서 이자율 2%의 예금에 돈을 넣어둔다면, 실질적으로는 매년 3%씩 손해를 보고 있는 셈입니다.

2. 실질 임금의 변화

급여가 물가상승률만큼 오르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구매력은 감소하게 됩니다.

3. 대출과 부채의 변화

fixed rate(고정금리) 대출의 경우,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실질적인 상환 부담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시대의 현명한 자산관리

  1.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투자
    • 물가상승률을 넘는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투자 전략 수립
    • 주식, 부동산 등 실물자산 고려
  2. 고정금리 활용
    • 인플레이션이 예상될 때는 가능한 고정금리 대출 선택
    • 변동금리는 금리 상승 위험에 노출
  3. 소비습관 개선
    • 불필요한 지출 줄이기
    • 가격 비교 습관화
    • 대체재 활용하기

결론

물가상승과 인플레이션은 피할 수 없는 경제 현상입니다. 하지만 이를 이해하고 대비한다면, 우리의 자산가치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축과 투자를 할 때는 반드시 실질수익률(명목수익률 - 물가상승률)을 고려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있다면 더 현명한 재테크가 가능할 것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목표별 저축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